1. 압력용기 두께 계산
이렇게 기본공식 적고..여기선 3a식..
2. 용접효율 비파괴검사율 계산두께 관계
이음효율 E와 투과시험정도 비교하고
계산두께 t는 용접효율 E에 반비례..
사용두께 = 꼐산두게 + 부식여유치
---------------------------------여기서 부터 압력용기 관련-------------------------------------- M - 111 - 2015
3. 압력용기 전 길이 방사선 투과대상
다음의 용접 이음부는 전 길이에 대한 방사선 투과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1) 치사적 물질을 포함하는 압력용기의 동체 및 경판의 모든 맞대기 용접부
(“치사 적 물질”이란 「(유해인자 분류기준)에서 정한 급성 독성 물질을 말한다)
(2) 용접 이음부에서 공칭두께가 38㎜를 초과하는 압력용기의 모든 맞대기 용접부
(3) 설계압력이 350kPa을 초과하는 비직화식 증기보일러 동체 및 경판의 모든 맞대기 용접부
(4) 위 (1) 또는 (3)에 따라 전 길이 방사선 투과시험이 요구되는, 압력용기 부분 또는 경판에 부착되는 노즐 및 연결실 등에 있는 모든 맞대기 용접부
(5) 용접이음부 및 부품이 <표1 (a)>에서 허용하는 이음 효율에 기초하여 설계된 압력용기 용접 (한마디로 양면 및 맞대기 )
4. 용접 후 열처리 대상
5. 용접 후 열처리 요건
-> 가열속도나 냉각속도..
(가) 용기나 부품을 노에 장입할 때 노의 온도는 425℃ 이하이어야 한다.
(나) 425℃ 초과 온도에서의 가열속도는 222℃/hr를 동체판 또는 경판의 최대 금속 두께(25㎜ 기준)로 나눈 값 이하이어야 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222℃/hr 이하이 어야 한다. 가열하는 동안 용기의 가열부위에서 길이 간격 4.6m내에 139℃를 초과하는 온도편차가 없어야 한다.
(다) 가열 유지시간동안 용기의 가열부위 전체에 대한 최고 및 최저온도 차는 83℃ 이하이어야 한다.
(라) 425℃ 초과 온도에서의 냉각은 280℃/hr를 동체판 또는 경판의 최대 금속두께 (25㎜ 기준)로 나눈 값 이하의 속도로 밀폐된 노 또는 냉각실에서 실시하여야 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282℃/hr 이하이어야 한다. 425℃부터는 정체된 대기에 서 냉각시켜도 된다
6. 시험 및 절차
(가) 용접절차 확인 승인된 용접 절차서에 따라 용접되었는지 확인하여야 제조자는 해당 요건을 충족 시켰음에 대한 증거 를 제출하여야 한다.
(나) 용접 후 열처리 작업의 확인 모든 용접 후 열처리의 정확한 실시 및 열처리 온도가 해당요건을 준수하고 있는 지
확인하여야 한다.
(다) 기밀시험을 실시할 압력용기 기압시험을 실시 해야하는 압력용기의 경우,
다음 용접부의 전 길이에 대해 균열 을 검출하기 위해 비파괴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1) 구멍 둘레에 있는 모든 용접부
(2) 비압력 부품을 압력 부품에 부착시키는 용접부를 포함하여, 목두께가 6㎜를 초과하는 모든 부착 용접부
(라) 용접이음부에 대한 방사선 투과시험
(1) 방사선 투과시험을 실시해야 하는 모든 용접 이음부
(2) <표 1>의 b)열(부분 방사선 투과시험)에서 용접이음효율을 선택한 압력용기 용 접부는
15m마다 또는 그 일부에 대해 한 번의 부분 시험(Spot Test)을 실시하 여야 한다.
----------- 화학설비 배관 등의 비파괴검사 및 열처리에 관한 기술지침- 개정됨 D - 10 - 2023-------------
7. 유체의 종류와 조건
여기서 가혹 반복하중 조건의 유체...
8. 비파괴 검사의 종류와 방법 -> 방법과 장단점 까지
(가) “비파괴검사 (Non-destructive testing or examination, NDT or NDE)”라 함은 배관 등의 용접부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방사선투과 시험, 초음파탐상시험, 자분탐상시험 또는 침투탐상시험 등을 말한다.
(나) "방사선투과시험 (Radiographic testing or examination, RT)"이란 목적물 에 방사선을 투과시켜 필름에 감광시킨 후 현상하여 관찰함으로서 재료 내부 또는 외부의 불연속 유무를 검사하는 비파괴 시험방법을 말한다.
(다) "초음파탐상시험 (Ultrasonic testing or examination, UT)"이란 초음파의 반사를 탐지하여 내부 또는 표면 불연속부의 존재와 그 위치를 확인하는 비파괴 시험방법을 말한다.
(라) "자분탐상시험 (Magnetic particle practice testing or examination, MT)" 이란 철 및 철 합금강의 표면 또는 그 근처에서 크랙과 유사 불연속부를 탐지하는 방법으로 주로 자성재료에 불연속부를 나타낼 수 있게 만든 자 성분말을 뿌려 탐상하는 방법을 말한다
요 블로그 좋네..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jhmillennium&logNo=221333795017
비파괴검사의 종류 및 특징(NDE or NDT)
재료를 파괴하지 않고 검사를 한다?안녕하세요. 휴먼입니다. 비파괴비파괴비파괴를 직접 접하지 않고 이해...
blog.naver.com
https://factoryforvalue.tistory.com/99
비파괴검사
1 비파괴 검사 개요 - 재료나 시험체의 원형을 보존하거나 손상없이 불량을 조기에 발견하고 조치하여 신뢰성향상과 실패비용 발생을 억제한다. - 간단한 육안 검사부터 고도의 기기를 이용한
factoryforvalue.tistory.com
9. 배관 용접부 비파괴 검사율 적용기준
10. 용접전 열처리
(1) 모재를 용접 전에 <별표 2>의 가열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용접하여야 한다.
(2) 작업장의 기온이 0 ℃ 이하에서 <별표 2>의 권장가열 온도란에 수치가 기재되어 있는
모재를 용접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권장가열 온도 이상으로 가 열한 후 용접하여야 한다.
모재구분과 모재종류 필히 암기하고 관의 두께와 인장강도등.
11. 용접 후 열처리
(1) 배관 용접부의 후열처리는 <별표 3>의 기준에 따른다.
(2) 안전보건규칙 <별표 2>의 제7호에서 규정하는 독성물질을 취급하는 배관 은
제(1)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관의 두께와 무관하게 후열처리를 하여야 한다.
다만, 후열처리를 하지 않는 재질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별표 3>에서 정한 P-3, P-4 및 P-5 모재에 대하여는 후열처리를 한 후에
5.3항 또는 5.4항에 따라 비파괴 시험을 하여야 한다.(자분탐상 침투탐상)
(4) 후열처리 후 실시한 비파괴 검사 시 부적합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불 합격 부위를 수정하고
다시 후열처리를 한 후 재시험하여 적합해야 한다.
이런 구석탱이 주석도 나오려나
(주)1. ASTM A 240, Gr.429에 상응하는 재질은 621 ℃ ~ 663 ℃의 온도범위에서
후열처 리 하여야 한다.
2. 후열처리 후에 가능한 한 신속히 냉각하여야 한다.
3. 후열처리 후 650 ℃까지는 시간당 60 ℃이하로 냉각하여야 하며,
650 ℃이하에 서는 취성
(Embrittlement)을 방지하기 위하여 빠른 속도로 냉각하여야 한다.
4. 후열처리 후 320 ℃까지는 시간당 170 ℃이상으로 냉각하여야 한다.
5. 용접 후 14일 이내에 후열처리 하여야 한다. 후열처리 후 430 ℃까지는
시간당 280 ℃이하로 냉각하고 430 ℃부터는 대기중에서 냉각하여야 한다.
6. 열처리로에서 후열처리 한 경우에는 용접부의 10 %에 대해 브리넬 경도를 측 정하고,
현장에서 국부적으로 열처리 한 경우에는 용접부 전체에 대하여 경도 측정하여야 한다
12. 배관 열처리 방법
(1) 노내 열처리법(Furnace heat treatment) 열처리 대상물인 배관 및 용기 등을 대형화로에
넣고 가열하는 것으로
공 장 제작 배관 또는 용접 배관의 후열처리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열처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전자유도 가열법(Induction heating treatment) 절연된 동소재의 전도체(전자유도 가열 코일)를
가열될 용접부
주위에 감 고 저주파인 25 Hz, 60 Hz, 400 Hz를 사용하여 가열하며 주로 60 Hz가 가 장 널리 사용된다.
(3) 토치 가열법(Torching heating treatment) 열처리될 용접부에 단일 버너 또는 링 버너를 사용하여
직접 용접부를
가 열하는 방법으로 열은 배관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된다.
(4) 전기저항 가열법(Electric resistance heating treatment) 니크롬 전선을 배관 용접부에 감싸고
열처리 온도까지
승온될 수 있게 전 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전류는 직류가 사용되며 특별 전력공급 장치나
용접 기로부터 얻어진다.
(5) 발열반응에 의한 가열(Exothermal heating treatment) 원통 모양의 형태로 발열 반응물
(알루미늄 분말, 금속 산화물, 내화화합물, 고착제의 복합물)을 예열 처리되어야할 배관 용접부
주변에 부착하고 산소 아세틸렌이나 프로판 토치를 이용하여 점화 연소시켜 이때 발생되는 반응
휴 정리끝.. 한 번 다 적어봤는데 외우질 못해
'5분 화공안전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공안전기술사 장판지 13 ~ 18번 (0) | 2024.02.20 |
---|---|
화공안전기술사 장판지 1 ~ 12번 (0) | 2024.02.19 |
필력을 늘리는 화공안전기술사 128회 기출문제 풀이 1교시 (0) | 2023.11.09 |
필력을 늘리는 화공안전기술사 129회 기출문제 풀이 4교시 빠르게 (0) | 2023.11.06 |
필력을 늘리는 화공안전기술사 129회 기출문제 풀이 3교시 빠르게 (0) | 2023.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