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3

소방 : 연소와 화재-4 소방 : 연소와 화재 네번째 시간 : 예혼합 연소 1. 예혼합 연소 1) 예혼합 2) 예혼합 화염의 구조 ① 화염대는 온도곡선의 변곡점을 경계로 하여 예열대와 반응대로 나누어진다. ② 미연 혼합기는 인입속도 Su와 인입온도 Tu에서 예열대로 진입하고 하류(Down Stream)의 반응대로부터 열전도에 의해 열을 공급받아 점차 온도가 상승한다. ③ 온도가 상승하면 예열대 후반에서는 화학반응이 시작된다. ④ 이후에는 화학반응에 따라 발생열량이 온도상승에 필요로 하는 열량을 상회하여 잔여열량이 상류(Up Stream)의 예열대로 전달된다. ⑤ 예열대와 반응대를 합쳐도 그 두께는 화염전체의 공간형상치수와 비교하면 보편적으로 얇은 상태이며 이를 화염면이라 한다. 2. 예혼합 열손실 1) 열 화염면에서 열손실이 있.. 2020. 1. 16.
소방 : 연소와 화재-2 두 번째 시간 : 연소한계 1. 연소 한계 1) 양론 혼합물 공기중의 증기농도가 농후하지도 희박하지도 않는 완전연소에 필요한 이론적인 양의 증기와 공기 2) 연소 하한계(LFL) 연소범위농도 이하에서는 발화원과 접촉될 때도 화염전파가 일어나지 않는 공기 중의 증기 또는 가스의 최소농도. ① Burbess 와 Wheeler는 하한계에서 발생되는 열량은 대체로 일정하며 탄화수소계의 발열량은 1,050Kcal/㎏로 일정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② Jones는 LFL = 양론혼합물 농도 (Cst) × 0.55 UFL = 양론 혼합물 농도 (Cst) × 3.5 ③ 프로판의 연소한한계와 상한계를 계산하면 C3H8 + 5O2 → 3CO2 + 4H2O 3) 연소 상한계 2. 연소를 위한 최소 산소 농도 (MOC .. 2020. 1. 7.
소방 : 연소와 화재-1 첫 번째 시간: 연소의 정의.. 1. 화재 삼각형과 화재사각형 화재는 삼각형과 사각형을 가지고 화재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화재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가연물, 산소, 에너지는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2. 고체의 열분해 가연성 고체에서 휘발분 생성은 높은 표면온도에 의해 열분해(고온분해)에 의해 생성되고 연료의 성질에 따라서 고체 에서 기체로 변하는 형태는 다르게 된다. 1) 고분자의 고온 분해 2) PVC의 열분해 R - (CH2CHCL)n - R → R- (CH=CH)n R' + nHCL 많은 연기를 내면서 연소 된다 3. 연소 속도 4. 에너지 방출률 5. 이상 기체 방정식 1)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화재로 부터의 열방출은 화염이나 높은 온도에서 생성된 연소 생성물로부터 열전달의 결과 높은온도를 초래하.. 2019. 12. 17.